반응형

심각한 해수면 상승, 통계로 입증되다

기후 변화가 주범, 걷잡을 수 없는 위협

해안가 주민들의 불안, 당장 발등의 불

19조 원 기간시설 '침수' 위기, 경제적 손실 눈앞

정부, 대책 마련 고심… '비용 부담' 논쟁 심화

남태평양의 아름다운 섬나라 뉴질랜드가 심각한 기후 변화의 위협에 직면했습니다. 최근 영국 일간지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해수면 상승 속도가 반세기 전보다 무려 두 배나 빨라졌으며, 이로 인해 향후 19조 원에 달하는 기간 시설이 침수될 위험에 처했다는 충격적인 예측이 나왔습니다.

심각한 해수면 상승, 통계로 입증되다

뉴질랜드 통계국(Stats NZ)이 발표한 최신 자료는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합니다. 지난 1961년부터 2020년까지의 해수면 상승 속도는 1901년부터 1960년까지의 속도와 비교했을 때 웰링턴, 리틀턴, 더니딘 세 곳의 주요 해안 도시에서 두 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도인 웰링턴은 지난 60년간 연평균 2.84mm라는 가장 큰 폭의 해수면 상승을 기록하며, 그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크라이스트처치 인근의 리틀턴 역시 120년간 연평균 2.24mm 상승하며 상황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가 주범, 걷잡을 수 없는 위협

통계국은 단순히 해수면의 높이 변화뿐만 아니라, 지반 침하나 인간 활동으로 인한 땅의 수직적인 움직임까지 고려하여 더욱 정확한 해수면 변화를 측정했습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뉴질랜드가 직면한 해수면 상승 문제가 자연적인 현상을 넘어, 명백한 기후 변화의 영향이라는 점을 분명히 합니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지구 대기가 따뜻해지면서 바다가 이 열을 흡수하고, 데워진 바닷물의 팽창과 함께 빙하와 판빙의 녹는 현상이 가속화되어 해수면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 통계국의 설명입니다. 뉴질랜드 통계국의 환경·농업 부문 대변인인 미셸 로이드 씨는 "앞으로의 기후변화를 예상할 때 해수면 상승은 계속될 것"이라며, 높아진 해수면이 해안가 마을, 기반 시설은 물론 해안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해안가 주민들의 불안, 당장 발등의 불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상 뉴질랜드는 해수면 상승에 더욱 취약합니다. 현재 뉴질랜드 인구 7명 중 1명꼴인 약 67만 5천 명이 바닷물 범람에 취약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특히 7만 2천 명이 넘는 사람들은 급격한 해수면 상승이 예상되는 위험 지역에 살고 있습니다.

19조 원 기간시설 '침수' 위기, 경제적 손실 눈앞

이러한 위기에 대한 경고는 이미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의 기후변화 대책을 연구하는 '딥 사우스 챌린지' 연구소는 정부 의뢰 보고서를 통해, 2050년까지 최소 1만 가구의 대도시 거주민들이 침수 문제로 인해 보험 가입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고 예측했습니다. 또한, 뉴질랜드 지방 정부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기반 시설 피해 규모를 무려 140억 달러, 우리 돈 약 19조 4천600억 원으로 추산하며 심각한 경제적 손실까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정부, 대책 마련 고심… '비용 부담' 논쟁 심화

뉴질랜드 정부 역시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내년까지 침수 피해를 볼 수 있는 주민들을 안전지대로 이주시키는 법규를 마련하겠다고 공언했으며, 지난달에는 기후변화 재난 대비 첫 국가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해수면 상승이나 해수 범람으로 인해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주택 보험 가입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에서 누가 그 비용을 부담해야 할지를 두고는 여전히 뜨거운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고 가디언은 지적했습니다. 당장 눈앞으로 다가온 기후 변화의 위협 속에서, 뉴질랜드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어떤 해법을 찾아 나갈지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